[DevOps] 2024 State of DevOps Report Part 3 (사용자 중심 접근)
State of DevOps Report는 2014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발표되고 있으며, DORA(DevOps Research and Assessment) 팀이 연구를 주도하다가 이후 Google에 인수되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습니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배포 빈도, 변경 실패율, 복구 시간, 리드 타임 등의 핵심 지표를 기준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 성과의 DevOps 모범 사례와 생산성 향상 전략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전 글에서는 2024년도의 State of DevOps Report 중 플랫폼엔지니어링의 내용을 중점으로 한번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사용자 중심 접근(User-Centered Approach) 내용을 중점으로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참고자료 - 2023 State of DevOps Report 소개
[DevOps] State of DevOps Report 2023 알아보기 1탄
https://every-up.tistory.com/62
[DevOps] State of DevOps Report 2023 알아보기 1탄
[DevOps] State of DevOps Report 2023 알아보기 1탄지난 10월달에 "State of DevOps Report 2023" 이 나왔습니다!State of DevOps Report란 Google에서 DevOps를 연구하는 DORA라는 팀에서 발표하는 자료인데요.State of DevOps Repor
every-up.tistory.com
[DevOps] State of DevOps Report 2023 알아보기 2탄
https://every-up.tistory.com/63
[DevOps] 2023 State of DevOps Report 알아보기 2탄
[DevOps] 2023 State of DevOps Report 알아보기 2탄지난번에는 State of DevOps Report 2023의 주요 결과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이번에는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 위해 주요 내용 중 사용자 중
every-up.tistory.com
[DevOps] State of DevOps Report 2023 알아보기 3탄
https://every-up.tistory.com/64
[DevOps] 2023 State of DevOps Report 알아보기 3탄
[DevOps] 2023 State of DevOps Report 알아보기 3탄지난번 2탄에 이어서 3탄에도 State of DevOps Report 2023의 주요 내용을 상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이번에는 인프라스트럭처와 문화에 대한
every-up.tistory.com
효과
2024 State of DevOps Report 내용 중 사용자 중심 접근(User-Centered Approach)의 내용을 중점으로 알아보겠습니다.
Report 내용은 한글로 번역 후 정리해봤으며, 번역 내용에 따라 원문과 의미가 조금 다를 수 있음을 사전에 알려드립니다.
주요 결과(요약)
보고서에서는 개발자가 만드는 것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것 사이의 일치가 직원과 조직이 번창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발견했습니다.
개발자는 더 생산적이며, 사용자 중심적 사고방식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 번아웃을 경험할 가능성이 낮고, 고품질 제품을 만들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소프트웨어는 사람을 위해 만들어지므로 개발자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소프트웨어 구축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조직의 책임입니다. 또한 우선순위가 끊임없이 바뀌지 않는 안정적인 환경은 생산성의 작지만 의미 있는 증가와 직원의 번아웃의 중요하고 의미 있는 감소로 이어진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환경적 요인은 개발되는 제품의 품질과 해당 제품을 만드는 개발자의 전반적인 경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사용자 중심성 및 배포 빈도에 따른 제품 성능
사용자 중심성 및 배포 빈도에 따른 제품 성능의 관계입니다.
사용자 중심성이 높은 제품일수록 성능이 높으며, 배포 빈도와 관계없이, 사용자 중심성이 높은 제품은 성능이 일관되게 우수합니다. 사용자 중심성이 낮은 경우, 배포 빈도가 증가할수록 성능이 상승하긴 하지만, 다른 그룹에 비해 성능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배포 빈도의 증가가 제품 성능을 향상시키지만, 사용자 중심성에 따라 효과가 다릅니다. 따라서 단순히 배포를 빠르게 하는 것보다,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사용자 중심성 및 고품질 문서화에 따른 제품 성능
사용자 중심성 및 고품질 문서화에 따른 제품 성능의 관계입니다.
모든 사용자 중심성 그룹에서 문서 품질이 증가할수록 제품 성능이 상승됩니다. 사용자 중심성이 높을수록 문서 품질이 제품 성능에 더 큰 영향을 주며, 낮은 사용자 중심성에서는 문서 품질의 영향이 제한적입니다. 사용자 중심적 설계가 부족하면, 문서가 아무리 좋아도 제품 성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기타 결과
사용자 중심 접근 방식이 중요한 이유
일에서 목적의식이 조직과 직원 모두에게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연구에 따르면, 일에서 의미를 찾는 것이 중요하며, 93%의 근로자가 자신의 일이 의미 있다고 느끼는 직업을 가지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미 있는 일을 할 경우, 미래 수입 23%를 포기할 의향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사람들에게 동기부여와 몰입도를 증가시켜 조직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명확한 방향성을 제공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사용자 중심적 접근 방식은 개발자가 자신의 작업을 보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임의의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사용할지 추측하는 대신, 개발자는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무엇을 빌드할지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개발자에게 자신이 작업하는 기능이 존재하는 데 이유가 있다는 확신을 주며 작업에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사람들이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할 때 뛰어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자신이 만든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신의 작업이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년도의 State of DevOps Report 중 사용자 중심 접근의 내용을 중점으로 주요 내용을 확인해봤는데요.
State of DevOps Report 중 다른 내용으로 다뤄볼 주제가 있다면 상세하게 확인해보는 시간을 다시 가져보겠습니다....! 끝...!
유익하게 보셨다면 공감을 눌러주고, 댓글로 의견을 공유해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Ops] 2024 State of DevOps Report Part 2 (플랫폼엔지니어링) (1) | 2025.03.17 |
---|---|
[DevOps] 2024 State of DevOps Report Part 1 (AI) (0) | 2025.03.07 |
[DevOps] AWS vs Azure vs GCP vs NCP 사용, 인기도, 관심도 비교 (0) | 2024.02.13 |
[DevOps] 여러가지 CI/CD 툴 사용, 인기도, 관심도 비교 (1) | 2024.02.02 |
[DevOps] AWS vs NCP 주요 서비스 기능 및 비용 비교 (1) | 2024.01.24 |